우쿨렐레를 자유롭게 연주하기 위해서는 음계를 꼭 알아야 한다고 해요.
나중에 보려고 간단한 차트를 만들어 보았어요.
프랫보드(Fretboard) 위에 각각 어떤 음인지 적어놓아서, 나중에 보려고요 ㅎㅎ :)
노가다였지만 만들고 나니 너무 뿌듯 뿌듯! :)
각 음계를 무지개 색상으로 표현해보았어요. 자세히 보시면 무지개 색상이 계속 반복되는 것을 알 수 있어요.
1. 색이 반반 표시된 것은 무엇인가요 ?
- #(샾) 은 반음이 올라간 음이라고 보면 되어요
- b(플랫)은 반음이 내려간 음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되어요
이 것을 딴이름 한소리라고도 부르는데요.
C를 예시로 들어볼게요.
C#은 C보다는 반음 높지만 D보다는 반음이 낮기 때문에 Db라고 표기되어요. 들리는 소리는 같지만 이름만 다르죠 :)
2. 한 칸 띄우는 것과 안 띄는 것의 차이?
피아노 건반을 보시면 검정건반이 있는 곳(초록색)과 없는 곳(붉은색)으로 나눠볼 수 있어요.
- 초록색의 경우 검정 건반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온음이라고 부르고,
- 붉은색은 검정건반으로 연결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반음이라고 불러요.
피아노 건반처럼 우쿨렐레에서도 온음(검정 건반 O)이라면 한 칸 띄어주셔야 하고요, 반음(검정 건반 X)이라면 띄우지 않고 눌러주시면 되어요.
3. 음이름 vs. 계이름?
음이름은 일정한 절대높이를 갖는 음의 이름을 칭합니다.
계이름은 상대적 관계에 의한 음의 이름입니다.
- 으뜸음에 따라서 계이름이 나타내는 음이 바뀐다.
- 으뜸음은 악보에 나타난 조표(# / b)에 따라 변경되어요
아래를 예시로 볼 수 있어요.
위에 보시다시피 미-파 / 시-도는 반음이기 때문에 바로 옆 건반을 쳐주시면 됩니다.
이 외의 것들은 전부 온음이기 때문에 한 칸씩 띄워주셔야 해요.
이 것을 우쿨렐레 프렛에 적용해서 연습해보아요.
'Ukule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만원 이하입문용 우쿨렐레 추천! (0) | 2020.04.28 |
---|---|
작은 기타 배워볼래? 나만의 특별한 취미! (0) | 2020.04.26 |